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65)
서양생활사 - 진공청소기 진공청소기 1898년 야심만만한 젊은 발명가 세실 부스는 런던의 엠파이어 뮤직 홀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회에 참가했다. 이 곳에는 한 미국인의 신종 '먼지제거' 기계 시범을 구경하게 되었다. 압축공기가 위에 달린 쇠상자 모양의 이 기계는 공기를 카펫으로 뿜어서 먼지와 흙을 상자 속으로 올라오게 했다. 부스는 이 발명품이 썩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많은 먼지가 상자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도로 카펫에 앉았기 때문이다. 부스는 먼지를 빨아들일 수는 없느냐고 발명가에게 물어보았으나 많은 사람들이 시도했지만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다는 대답을 들었다. 부스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며칠 동안 생각했따. 그는 자신의 발명에 대한 후일담을 이렇게 썼다. '나는 빅토리아 거리에 있는 어느 레스토랑에서 보풀이 긴 천 의..
서양생활사 - 조명 어둠으로부터 해방 성경 구절 중에 이런 게 있다. "일할 수 없는 밤이 오리라." 옛사람들에게 밤이란 그냥 일할 수 없는 시간에 불과했다. 18세기 후반까지 실내 조명에 있어서 실질적 혁신은 없었다. 그러나 단지 잠을 자거나 할일 없이 보내기에는 밤이 너무 긴 나머지 인간은 집안을 밝힐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첫번째는 오일 램프였다. 약 5만년 전 크로마뇽인은 동물기름으로 불을 붙인 섬유 심지가 계속해서 타는 것을 발견했다. 이 돌램프는 삼각형이었고, 심지는 접시처럼 움푹 파인 곳에 역한 냄새가 나는 동물기름과 함께 담겨 있었다. 이 간단한 원리는 수천년 동안 이어졌다. 지금으로부터 3300년 전 이집트인들은 집과 산전을 오일램프로 밝혔다. 이제 램프는 조각된 토기였고 종종 장식으로 쓰였다. 심지는 파피..
서양생활사 - 난방 로마 중앙난방(하이퍼코스트)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가정용 컴퓨터 등 전기 음극선을 사용한 장치들이 현대적 가정과 옛날 가정을 구분하는 특징처럼 보이겠지만, 이러한 것들이 근본적인 차이는 아니다. 음극선(cathode-ray)관이 아니라 벽난로가 가정의 중심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현대의 가정과 옛날 가정을 구분 지울 수 있는 여러가지들 중에 2가지를 고르라면, 조명과 난방이다. 너무나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것들이라 이 2가지에 문제가 생기기 전까지는 그 중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초기 기독교 시대 로마 기술자들은 최초 중앙난방 시스템인 하이퍼코스트(hypocaust)를 개발했다. 스토아 철학자이며 정치가였던 세네카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몇몇 원로원의 집에 집안 골고루 부드럽고 고른 열을 전달할 수..
#과♭/피아노의 유래/피아노 음색/ #(샵)과 ♭ (플랫) #(sharp: 샾)은 반음 올리는 조표로 주로 장조계 곡에, ♭(flat: 플랫)은 반음 내리는 조표로서 주로 단조계의 곡에서 사용된다. 그런데 #과 ♭ 중 어느 것이 먼저 생겼을까? 답은 ♭가 먼저 생겼다. 11세기에 등장하여 15세기까지만 해도 ♭을 하나만 쓴 곡밖에 엇었는데, 16세기 들어 ♭을 2번 쓴 곡이 등장했다. #이 등장한 것은 17세기 중반으로, 현재와 같이 복잡한 조표 사용이 굳어진 것은 18세기 이후다. 악보에 #와 ♭이 잔뜩 있으면 어질어질하다는 사람이 많은데, 사실 노래방에서 자기 음역에 맞추어 신나게 노래할 수 있는 것은 #과 ♭ 덕분이다. 피아노의 유래 피아노의 정식 명칭은 '피아노 에 포르테' 이다. 그 뜻은 '약한 음과 강한 음(이 나는 악기)'다...
오케스트라 자리 배정/잡음 섞인 악기소리/도레미파솔라시도는 줄임말 오케스트라 연주자 자리 배정 오케스트라마다 실력 차이는 있지만 연주자의 좌석 배치는 거의 비슷하다. 무대에서 봤을 때, 왼쪽에 제1 바이올린이 앉고 그 옆이 제2 바이올린의 자리. 중앙 앞쪽으로는 비올라, 그 뒤가 피콜로, 플루트, 클라리넷, 호른 순으로 앉는다. 중앙 맨 뒤에는 팀파니, 심벌 등이 위치하고 오른쪽 앞 열은 첼로, 그 뒤가 콘트라베이스다. 이런 자리 배치는 여러 시해착오를 통해 최선의 배치를 모색한 결과다. 만약 팀파니나 콘트라베이스 같은 대형 악기가 앞줄에 오면 그 뒤에 앉은 연주자는 지휘봉을 보기 어렵다. 또 음색이 비슷한 악기를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은 혹시 모를 작은 실수가 덜 드러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사람 수가 적은 여러 악기를 가운데 모은 것은 지휘자가 개별적으로 지휘하기..
콘서트홀 명당 자리/콘서트홀 좌석 등급 기준/목관악기 특징/ 콘서트홀 명당 자리는 어디? 커다란 콘서트홀에서 가장 좋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자리는 홀의 중앙 부근이다. 각 악기의 균형을 생각하면 그 부근에서 듣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모든 콘서트에서 중앙이 가장 좋은 자리는 아니다. 작은 홀이라면 목소리와 건반 소리가 잘 들리는 앞쪽 자리가 좋다. 소리가 잘 들리는 것은 물론 가수의 표정까지 생생히 보여서 공연 보는 재미가 더해진다. 또 귀가 밝은 사람, 풍부한 음색과 기교를 즐기고 싶은 사람은 중앙 뒤쪽이나 2층 맨 앞자리도 좋다. 과학적으로 설명하자면, 직접음의 분산비가 작아 음색을 감상하는 데 가장 좋은 위치다. 콘서트홀 좌석 등급 기준 콘서트홀의 좌석은 연주회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해도 대개 S석이 가장 많고 A,B석은 별로 없어서 입장권을 구하기가 ..
클래식 곡 제목은 누가 붙이나?/클래식에도 애드립?/피아니스트를 짜증나게 하는 곡 클래식 곡 제목은 누가 붙이나? 클래식 명곡에는 '전원' 이나 '미완성' 등 제목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보통 제목이라고 하면 소설이 그렇듯 그 작품을 창작한사람, 즉 작곡가가 붙이는 것이라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클래식은 조금 다르다고 한다. 모짜르트와 베토벤이 활약했던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주위 사람이나 음악 출판사가 곡의 이미지에 맞게 제목을붙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예를 들면, 베토벤 '월광'은 발표 당시에는 '환상곡풍 소나타'로 불렸지만 이 곡에 감동한 요한 페터 리자 라는 사람이 베토벤이 달빛 아래 이 곡을 썼다는 이야기를 지어내며 '월광'으로 곡 제목이 붙여졌다고 한다. 클래식에도 애드립이 있다고? 연주자가 자유롭게 선율을 연주하는 애드립(ad lib). 재즈의 전매특허인 양 여겨지..
모짜르트 작품의 쾨헬/교향곡 '운명'은 한국,일본에만 있다?/무음 연주곡 모짜르트 작품의 쾨헬의 의미 모짜르트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무직'은 독일어로는 'K.V.525', 영어로는 'K.525'라는 작품 번호가 붙어 있다. 쾨헬 번호로 불리는 'K.V'나 'K'는 무슨 뜻일까? 모짜르트에게는 루트비히 폰 쾨헬이라는 열성팬이 있었다고 한다. 본래 식물학자였던 쾨헬은 모짜르트에 대한 열정이 대단해서 1862년 그거 남긴 모든 작품을 연대순으로 편집, 출판했다. 그때 모짜르트의 작품에 붙여진 일련 번호가 바로 쾨헬 번호였다. 이 책은 나중에 몇몇 사람의 손을 거쳐 꾸준히 증보, 개정되었고 그 과정에서 쾨헬 번호가 그대로 남은 것이라고 한다. 교향곡 운명은 한국과 일본에만 있다? 베토벤의 교향곡 5번을 '운명'으로 부르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 뿐이라는 사실을..
이태리에서 헤드폰 안팔리는 이유/미완성 교향곡이 미완성된 이유 이태리에서 헤드폰이 잘 안팔리는 이유 세계적인 대히트 상품 '워크맨'이 발매된 것은 1979년이다. 워크맨은 순식간에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전 세계로 수출되었다. 이와 동시에 헤드폰이 전 세계 젊은이들 사이에 퍼져나갔는데, 그 취향은 나라마다 미묘하게 달랐다. 일본과 독일은 기능을 우선시하여 음질이 좋은 것이 잘 팔렸다. 한편 미국과 영국에서는 가격이 저렴한 것이 잘 팔렸고, 프랑스에서는 디자인을 우선시하여 특히 파스텔 컬러 제품이 인기가 높았다고 한다. 그런데 이탈리아에서는 전반적으로 매출이 오르지 않았다. 이탈리아인들은 음악을 즐기는 방식이 좀 달랐다고 한다. 쾌활한 이탈리아인들에게 음악이란 친구, 동료와 다 같이 즐기는 것이지 혼자 즐기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혼자듣기용인 헤드폰을 이태리사람들은..
비틀즈 해체를 담은 노래/해피버스데이투유는 무단도용/하드락과 헤비메탈 차이 비틀즈 해체를 담은 노래 1970년 12월 30일은 비틀즈가 해체한 날이다. 그 원인으로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의 불화설, 존의 부인인 오노 요코의 방해설 등 온갖 소문이 돌았지만 정작 멤버들은 뮤지션답게 노래를 통해 그룹 해체의 이유를 설명했다. 링고스타는 'early 1970'이라는 곡에서 해체 직전의 상황을 노래했고, 1972년 'back off boogaloo'에서는 존과 폴이 화해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담았다. 한편 폴 매카트니는 'too many people'로 존 레논은 'how do you sleep'으로 폴 매카트니를 공격했다. 마지막까지 침묵을 지키던 조지 해리슨은 'sue me sue you blues'를 통해 사태가 소송에까지 이르며 돌이킬 수 없음을 한탄했다고 한다. 어쨌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