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5)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숫가루에 아시아 역사가? / 5천원권 별명이 서양 율곡? 미숫가루, 아시아의 역사가 담겼다고? 찹쌀이나 맵쌀 또는 보리쌀 따위를 찌거나 볶아서 가루로 만든 식품인 미숫가루는 중동부터 동아시아까지 거의 모든 아시아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전투 식량이나 여행용, 수련용 음식으로 애용되었다. 도대체 언제, 어디서 처음 먹기 시작했는지 알 수 없다고 한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선식(禪食)이라고도 불리며 예로부터 신선들이 먹던 음식이라고도 알려졌다. 그리고 중원의 고대 국가인 주나라 초기인 기원전 12세기 이전부터 먹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미식'이라 불리며 먹었다고 추정되며 미식이 미수로, 다시 미숫가루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것이 고려시대에 몽골로 건너간 뒤, 몽골 전통 음식 중 하나인 '미스가라'라는 음식으로 변형되었다고 여겨진다.. 쥐잡기가 토종 여우 멸종시켜? / 오줌을 사고 팔았다고?/덴푸라 유래 1960년대 우리나라 쥐잡기 운동이 토종 여우를 멸종시켰다고? 우리나라 전설이나 민담에는 여우가 자주 등장한다. 여우는 산속이 아니라 사람들이 사는 마을 가까이 있는 구릉이나 야산에 살고, 저녁 무렵 활발히 움직이는 쥐를 잡아먹고 산다. 게다가 한반도 전역에 사는 토종 여우의 개체 수가 상당했다. 당연히 사람의 눈에 자주 띄었고 민담의 소재가 된 것이다. 그런데 한반도 전국 곳곳에 살았다던 여우가 지금은 자취를 감췄다. 1960년대 대대적으로 펼친 쥐잡기 운동이 원인이다. 1962년 쥐잡기용 국가 예산 8억 2000만 환이 책정돼 전국적인 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쥐덫도 보급하고 고양이를 기르자는 캠페인도 벌였다. '쥐는 살찌고 사람은 굶는다' 는 구호 아래 1970년대에는 1년에 수차례 같은 시간에 일제히.. 퐁듀는 나치에 저항한 음식?/초밥10개가 1인분인 이유 스위스의 퐁듀는 나치에 저항하기 위해 먹던 음식이라고? 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합병한 뒤 스위스까지 넘봤다. 하지만 스위스는 독일의 공격을 잘 막아내 1815년 비엔나회의에서부터 유지한 중립국 지위를 지켜낼 수 있었다. 작은 나라인 스위스가 독일 침략을 잘 막아냈던 것은 오로지 국민들의 단결된 힘이었다. 스위스는 정규군이 없고 민병대만 있었다. 평소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유사시에 군대로 소집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정부가 국민 동원령을 내려 징집 대상자 거의 전부인 40만 병력이 일주일 만에 모였다. 이들이 똘똘 뭉쳐 결사 항전했다. 그런데 이때 스위스 전통 음식이었던 퐁듀(Fondue)가 크게 인기를 끌었다. 오래전 알프스의 목동들이 겨울 추위에 맞서 먹었던 음식이 퐁듀였다. 포도주를..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