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유럽의 용변 비위생
로마제국 멸망으로부터 야만인들이 침입해서 타일 깔린 목욕탕과 테라코타 수로를 모두 파괴했던 중세 후기까지 목욕과 일반적인 청결함은 사람들이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 당시 정통적인 기독교 입장은 육체의 모든 양상을 가능한 한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몸을 다 드러내 놓는 전신 목욕은 유혹을 일으키기 때문에 죄라고 여겼다. 이러한 견해가 거의 대부분의 유럽에 퍼졌다. 침례를 받을 때 물에 몸을 담궈 목욕하는 것 외에는 거의 목욕을 하지 않았다. 부자들은 몸에다 향수를 뿌렸지만 가난한 사람들 몸에서는 냄새가 났다.
공용이든 사용이든 목욕하는 것 자체가 없어지면서 실내 화장실을 만드는 기술의 세련됨도 사라지고 말았다. 뒷간, 야외변소, 요강이 사회의 모든 계층에서 다시 등장했다. 기독교적인 고상함과 목욕이 건강에 나쁘다는 식의 의학적 미신이 합세하여 위생을 끝장내고 말았다. 수백년 동안 질병이 만연했고 전염병이 마을과 도시 인구의 10분의 1을 죽였다.
유럽에서는 1500년대 종교개핵 여파가 위생에 대한 관념을 더욱더 악화시켰다. 육체의 유혹을 멀리한다는 점에서 서로 경쟁을 벌였던 개신교와 천주교는 평생동안 피부를 비누와 물에 거의 노출시키지 않게했다. 2천년전에 매우 발달했던 화장실 배관 기술은 웅장한 유럽 궁전에서조차 거의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미미해졌다. 그리고 충동이 생길 때마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공공연하게 실례를 하는 일이 너무나 자주 일어나서 1589년 영국 왕실은 왕궁에 공개 경고장을 붙여야 했다.
'신분을 막론하고 어느 누구라도 식전 혹은 식후, 아침 일찍 혹은 저녁 늦게, 소변이나 다른 오물로 계단 복도, 혹은 옷장을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하라.'
이러한 경고가 있었다는 것을 볼 때, 우리는 에라스무스가 1530년에 했던 충고, 즉 소변이나 배변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 인사하는 것은 실례임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
용변에 대한 에티켓
그로부터 100년 후에 나온 에티켓 교본도 같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 같은 충고를 한다. 1700년 경에 쓰인 '정중한 예절, 젊은이가 점잖은 자리에서 자신을 소개하는 법 The Gallant Ethic, in which it is shown how a young man should commend himself to polite society에 보면 '용변을 보고 있는 사람을 지나갈 때는 못 본 체 해야 한다' 라고 충고하고 있다. 당시 프랑스 저널은 공공위생 문제가 얼마나 심각했는지 짐작하게 해준다.
'파리는 끔찍하다. 거리는 냄새가 너무 나서 나갈 수도 없다. 거리에 수많은 사람들이 너무나 악취를 풍겨서 견딜 수가 없다.'
위생문제는 요강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보통 가정에는 배관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요강의 오물은 종종 거리에 내버려졌다. 당시 많은 민화들은 밤늦게 2층집 창문 밑을 지나가는 위험을 그리고 있다. 이 시간이 몰래 요강을 비우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항상 더러운 상태로 있는 시궁창과 이러한 위험 때문에 남자가 여자를 보도 안쪽에 에스코트하는 습관이 생겼을 것이라고 짐작하고 있다.
법적으로는 요강의 오물을 '밤오물 치우는 사람'이 아침에 걷어가도록 되어 있었다. 그들은 오물을 수레에 실어 거대한 공공 분뇨 구덩이로 날랐다. 그러나 모든 가정이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고, 또 기다릴 수도 없었다.
1600년대까지는 유럽 일부 지방에서 배관 기술이 다시 등장했다. 그러나 화장실용이 아니었다. 17세기에 베르사유 궁전이 처음 건축되었을 때 완성 직후 프랑스 왕실 가족과 천 명의 귀족과 4천명의 수행원을 수용하게 될 폭포와 야외 분수 시스템은 웅장하게 잘 만들어졌지만 화장실이나 목욕탕의 배관은 하나도 되어 있지 않았다.
산업혁명 이후 위생문제
1700년대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되었지만 가정이나 공공 위생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는 질식할 정도의 인구과잉과 전에 없는 비위생을 초래했다. 한때 아름다웠던 마을은 질병으로 고통받는 빈민가가 되었다.
1830년대 런던에서 콜레라가 발생하여 수많은 인구가 죽고 나서야 당국에서는 가정과 직장, 거리와 공원 등에서의 위생에 대한 계몽을 시작했다. 그 후 20세기가 시작할 때까지 영국은 최초로 가정과 공공 건물에서의 배관공사를 건축하는 데 있어 서구 세계를 선도했다. 이 무렵을 전후해 오늘날 우리가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는 화장실이 현대식 수세식 변기라는 특징을 가지고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했다.
'고전 인문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생활사 - 휴지 (4) | 2023.11.01 |
---|---|
서양생활사 - 화장실 냄새 제거 (0) | 2023.10.30 |
서양생활사 - 사우나 (2) | 2023.10.29 |
서양생활사 - 수세식 화장실 (2) | 2023.10.27 |
서양생활사 - 고무호스 (2)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