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탑의 비밀
유럽 곳곳에는 교회 탑, 시계탑, 성곽의 감시탑(Watch tower), 시청이나 교회의 종탑 등 탑이 참 많다. 이 탑들은 고유 역할이 따로 있었으며, 전쟁 때는 방어 시설로 기능했다. 종탑에서는 적군이 쳐들어왔을 때, 재빨리 종을 울려 도심 전체에 위기를 알리고 감시탑은 적군을 감시하며 적을 향해 원거리 공격을 할 때 사용되었다. 또한 무기 제조고로 사용되었다.
19세기 중엽까지 매끄러운 구형의 탄환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다 하늘에서 자유낙하해 떨어진 물방울이 구형이라는 점에 착안해 탄환을 만들기 시작했다. 높은 첨탑에서 납을 녹여 방울로 떨어뜨리고, 탑 아래에 준비해둔 큰 수조에 이 방울을 떨어뜨린 뒤 가공하면 탄환을 신속하게 만들 수 있었다. 이후 각 도시에서는 탑을 더 많이 세우기 시작했고 이런 탑들은 탄환 제조탑이라는 의미로 샷타워(Shot tower)라고 명명되었다고 한다.
흑백TV를 보면 꿈도 흑백으로 꾼다
요즘 사람들은 대부분 총천연색의 꿈을 꾼다. 하지만 1940~1050년대 미국에서 실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 정도만 천연색 꿈을 꿨고, 대부분은 꿈을 흑백으로 꾸었다고 한다. 신기하게도 오히려 그 이전에 살았던 아리스토텔레스나 프로이트 등은 천연색의 꿈을 꿨다는 기록을 남겼다.
왜 20세기 중반에는 흑백 꿈을 꾸었을까? 이에 대해 미국 학자 에릭 슈비츠게벨은 영화나 TV의 영향을 꼽는다. 흑백 영화나 방송이 보편적였던 당시의 경험이 꿈에 전이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잠에서 깨어난 뒤 원래 천연색이던 어젯밤 꿈을 무채색으로 기억해냈다고 분석했다. 슈비츠게벨은 최근 이 연구를 중국에서 진행했다. 중국은 도시에는 컬러TV가 보급되었지만, 시골에서는 아직도 흑백TV를 보는 곳들이 있다고 한다. 연구 결과 도시인들은 천연색으로 꿈을 꾸는데 비해 시골 거주자들은 흑백꿈을 꾼다고 대답한 비율이 훨씬 높았다고 한다.
꿈과 아이디어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는 1912년 여름에 명작 '변신'의 줄거리를 꿈으로 꾸고 글로 옮겼다고 전해진다. 1844년 미국 보스턴에서 재봉틀을 발명해 거부가 된 일라이어스 하우스 또한 같은 경험을 했다. 재봉틀을 만드는 과정에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골치를 앓던 차에 꿈속에서 실마리를 찾은 것이다. 1953년 유전 물질 DNA 나선 구조 모델을 발표해 1962년 노벨상을 받은 생물학자 제임스 왓슨도 마찬가지다. 꿈속에서 원형 계단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
깊은 밤 인간의 뇌는 창조적으로 바뀐다. 수면 시간이 길어지면 강렬한 꿈을 꾸는 렘 단계가 오래 지속하고, 뇌는 아이디어를 생산하기 적합한 상태가 된다. 머릿속에서 순환하는 아세틸콜린은 많아지고 노르아드레날린은 적어지는데, 이는 자유로운 연상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래서 꿈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불면증 원인?
스마트폰이 각종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지만, 때론 건강에 해를 입히기도 한다. 바로 블루라이트(Blue light) 때문이다. 블루라이트는 380~500nm 사이의 파장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이다. 특히 텔레비전과 컴퓨터 등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서 많이 나온다. 블루라이트에서 눈이 장시간 노출되면 쉽게 피로해지고 안구건조증이 발생한다. 또 시신경을 훼손하고 눈의 노화를 일으켜 시력이 낮아질 위험도 있다.
문제는 블루라이트가 스마트폰에서 텔레비전과 컴퓨터보다 최대 5배나 많이 나온다는 점이다. 잠자리에서 밝은 액정을 장시간 보고 있으면 뇌는 이 빛을 태양빛으로 착각한다. 그러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줄어들고 뇌는 각성 상태가 되어 쉽게 잠들지 못하게 된다. 흔히 잠이 잘 오지 않을 때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데, 이런 행동이 더욱 잠을 쫓는 것이다. 그러니 잠이 안온다고 스마트폰을 보지는 말자.
'자투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치 주원인은 당분?/근육 기억력/냄새의 기억/조향사의 후각 (0) | 2021.06.16 |
---|---|
생체시계/운동선수가 뿌리는 스프레이/운동화 밑창/양치질 주의점 (0) | 2021.06.15 |
소금 섭취해야 하는 이유/머리쓰면 왜 배고플까?/만리장성과 찹쌀 (0) | 2021.06.14 |
코막히면 귀막히는 이유/여자가 목젖없는 이유/탄 거 먹으면 암? (0) | 2021.06.14 |
1초는 어떻게 정했을까?/우주에서 우주복을 안입으면?/한쪽 귀막고 노래하면 음정이 잘 맞는 이유 (0) | 2021.06.13 |